
전시 개요
로봇들과의 교류와 최신 로보틱스 연구 소개를 통해 미래의 다양한 로봇과 함께하는 삶을 상상하는 전시입니다.
- 장소
- 3F (미래를 만들다)



파트너 로봇
Keparan
소통하면서 변화해 가는 파트너 로봇

로봇이 인간의 파트너가 되는 미래를 체험해 보기 위해 탄생했습니다.
‘Keparan’이 움직이는 모습을 보고 어떤 감정이 들었나요?
친구가 되고 싶었나요? 아니면 무서웠나요?
로봇을 느끼고 접하는 방법은 각자 다릅니다.
로봇이 파트너가 되면 당신과 로봇의 관계는 시간이 흐르면서 변할지도 모릅니다.
‘Keparan’과 함께 하고 싶은 일이나 해주기를 바라는 일이 있나요?
당신의 의견을 꼭 들려주세요.
[Credits] * Title and affiliation are at the time of exhibition opening
Planning & Production
Miraikan - The National Museum of Emerging Science and Innovation
Technical Cooperation
TOYOTA MOTOR CORPORATION
Character Design
MontBlanc Pictures Co.,Ltd.
Character Design: Takekiyo Hitoshi
Producer: Kinoshita Fumiaki
Illustrator: Fuchigami Koji
Doll / Exterior Fur Production
Ningyo Kobo
Doll Makers: Yamamoto Mayumi, Onaka Sayoko
Assistant Doll Maker: Mizuno Michiko
Technical Artist: Kondo Sho
Voice actor
Yoshida Sakurako
PARO
사람에게 즐거움과 편안함을 주고 마음을 치료하는 테라피용 로봇

살아 있는 동물을 키우기 어려운 장소와 사람을 위해 개발된 로봇입니다.
테라피 로봇으로서 의료시설 뿐만 아니라 유엔기관 등을 통해 재난이나 전쟁을 체험한 사람 등의 마음을 치료하는 데 활용되고 있습니다. 또한, 화성 유인탐사를 위해 좁은 주거 공간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경감 효과에 대해서도 실험하고 있습니다.
In cooperation with
Prof. Shibata Takanori (National Institute of Advanced Industrial Science and Technology)
Intelligent System Co., Ltd.
aibo
사람에게 다가가 애정의 대상이 되는 엔터테인먼트 로봇

aibo는 가정에서 사람과 유대감을 지니고 기르는 기쁨과 애정의 대상이 되는 것을 목표로 개발된 로봇입니다. 스스로 호기심을 가지고 사람에게 다가가 매일 함께 즐겁게 생활하며 성장해 가는 파트너가 되는 것이 목표입니다.
매일 교류하다 보면 aibo의 성격과 행동이 바뀌고, 개성도 생깁니다. 또한, 클라우드에 연결하면 aibo 전체가 학습을 통해 성장해 갑니다.
In cooperation with
Sony Group Corporation
LOVOT
마음이 통하는 따뜻한 기술

조금씩 가족이 되어가는 로봇 ‘LOVOT’. 부드럽고 따뜻한 몸, 10억 가지 이상의 눈과 목소리 조합, 자기도 모르게 껴안고 싶어지는 촉감 등 사람이 LOVOT에 애착을 형성하기 위한 기술이 응축되어 있습니다.
머리의 달린 ‘센서 혼’에는 반천구 카메라, 마이크, 조도 센서, 열화상 카메라가 내장되어 있습니다. 몸 전체에 부착된 50개 이상의 센서로 포착한 자극을 기계 학습 기술로 처리하여 실시간으로 움직임을 만들어 냅니다.
In cooperation with
GROOVE X, Inc.
연구 중인 로봇
인간과 소통하기 위한 기술

‘Human-Robot Interaction (HRI)’이란, 사람과 로봇이 어떻게 관계를 맺고 공존해야 하는지를 탐구하는 학문 분야입니다.
로봇과 함께 살아가는 미래를 만들어가는 데 있어서 빼놓을 수 없는 연구입니다.
어떤 모습으로, 어떤 방식으로 곁에 있으면 좋을까?
안심하고 관계를 맺을 수 있는 로봇은 어떤 존재일까?
5가지 연구를 통해 로봇과 사람의 "적절한" 관계에 대해 생각해 봅니다.
자연스러운 표정은 파동으로 만든다
자연스러운 표정을 만들어낼 수 있는 것은 사람을 닮은 로봇이 보다 자연스럽게 사람과 관계를 맺기 위한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눈썹이나 눈, 입 등 각 부위의 동작을 ‘파동’으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부자연스럽게 보이거나 동작을 구현하기 어려웠던 기존 로봇의 표정 변화를 보다 부드럽게 표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Affetto
Affetto는 어린이형 안드로이드입니다. ‘마음의 움직임’을 풍부하게 표현하고 사람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기 위해 개발되었습니다. 얼굴의 실리콘제 피부 아래에는 21개의 공압 액추에이터가 탑재되어, 안쪽에서 피부를 움직여 다양한 표정을 만들어냅니다.

이 연구에서는 로봇의 눈썹이나 눈, 입, 어깨 등의 동작을 각각 ‘파동’의 형태로 표현합니다. 그것들을 감정에 따라 부드럽게 변화시키면서 합성함으로써, 기분을 전달하는 움직임을 여러 겹으로 겹쳐놓을 수 있습니다.
다른 로봇이나 CG 아바타에도 응용 가능한 시스템이므로 다양한 장면에서 보다 자연스러운 커뮤니케이션이 실현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In exhibition cooperation with
Affective Android Dynamics Laboratory (Led by Associate Professor Hisashi Ishihara), Department of Mechanic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The University of Osaka
A- Lab Co., Ltd.
‘접촉’을 탐구하다
사람에게 있어서 접촉이라는 행위는 가장 기본적인 인터랙션 중 하나입니다.
로봇과 사람이 접촉을 통해 친밀한 관계성을 구축하기 위해 안심하고 안전하게 접촉할 수 있는 로봇이 연구·개발되고 있습니다.
심리적·생리적·뇌과학적 관점에서도 검증하고 있으며 요양시설 등에서의 장기적인 실증 실험도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관심받고 싶어 하는 ‘HIRO-Chan’
아기를 어르면서 어르는 사람이 치유 효과를 얻을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 힐링 커뮤니케이션 디바이스입니다. 자이로 센서, 가속도 센서 등이 탑재되어 있으며 센서의 검출값에 따라 발화 내용이나 기분이 변화합니다.
천형 터치센서
사람이 만지거나 가까이 다가온 것을 인식할 수 있는 천형 센서입니다.
금속을 직조한 섬유로 되어 있으며 정전용량 변화를 측정할 수 있습니다.
천과 같이 가공할 수 있기 때문에 의복에 사용하거나 인형 같은 외형의 로봇 소재로 활용하는 등, 사람과 로봇의 접촉 연구에 응용되고 있습니다.

악수나 포옹, 등을 톡톡 두드리기…. 우리가 일상적으로 하는 물리적인 접촉이나 촉각은 사회적인 커뮤니케이션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그것들을 ‘소셜터치 인터랙션’이라고 부르며, 사람과 로봇 사이에 감정적·사회적인 연결고리를 구축하는 방법으로서 연구되고 있습니다.
In exhibition cooperation with
Masahiro Shiomi (Group Leader, Interaction Science Laboratories, 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Hidenobu Sumioka (Group Leader, Hiroshi Ishiguro Laboratories, Advance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International)
Vstone Co., Ltd.
Sanki Consys Co., Ltd.
로봇은 세계를 어떻게 보고 있는가
폿짱이 무언가를 해달라고 요청한 타이밍에 머리의 스위치를 누르면 주변의 가전제품이 작동합니다. 간단한 조작이지만 로봇이 무엇을 감지하고 어떻게 반응하는지와 같은 세계의 인식 방식에 대해 의식을 돌리는 계기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스위치 로봇 ‘Potchan’
폿짱이 무언가를 해달라고 요청한 타이밍에 머리의 스위치를 누르면 주변의 가전제품이 작동합니다. 간단한 조작이지만 로봇이 무엇을 감지하고 어떻게 반응하는지와 같은 세계의 인식 방식에 대해 의식을 돌리는 계기가 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생물은 각각 고유한 감각이나 지각에 기반하여 세계를 인식하고 있으며 이러한 주관적인 환경의 파악 방식을 ‘환세계’라고 합니다. 로봇에게도 카메라나 센서를 사용해 취득한 정보로부터 구축된 환세계가 있을 것입니다.
이 연구에서는 로봇과 사람의 감지 방식의 차이를 알게 됨으로써 보다 나은 공존 방법을 탐구해 나갑니다.
In exhibition cooperation with
Hideyuki Takahashi (Associate Professor, Faculty of Science and Engineering, Otemon Gakuin University)
Chie Hieida (Assistant Professor, Graduate School of Science and Technology, Nar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Mayu Omichi and Kohei Miura (Graduate School of Engineering Science, Osaka University)
Takuya Maeda and Shunsuke Aoki (Yukai Engineering Inc.)
로봇을 기술 철학의 관점에서 생각하다
눈앞에서 서빙 로봇이 난폭하게 다뤄지고 있다면? 당신은 ‘로봇이 괴로워하고 있다……」고 느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우리는 단순한 도구 이상의 존재로서 사회에 녹아들어 가고 있는 로봇이나 AI를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관계를 맺어가야 할까요? 사람이나 사회와 과학기술의 관계성을 생각하는 ‘기술 철학’이 힌트를 줄지도 모릅니다.

만화 애니메이션 “Better Friends”
대화 로봇 ‘가브’와의 대화를 매우 좋아하는 초등학생 사쿠. 어느 날, 가브가 생각지도 못한 발언을 하게 되는데……. 기술 철학 연구자가 감수한 가까운 미래의 이야기입니다. 로봇과 사람 사이에서 생겨나는 관계성에 주목하여 읽어보세요.

‘기술 철학’은 과학기술이 사람이나 사회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생각하는 학문입니다. 기술 철학에서는 로봇에 대해서도 그 성능만이 아니라 사람과의 관계성에 주목하자는 생각이 나오고 있습니다. ‘어떤 외관을 하고 있는가?’ ‘어떻게 소개되고, 어떻게 다뤄지고 있는가?’라는 관점에서 로봇을 파악하여 지금까지 없던 기술의 평가 방법으로 이어질 것으로 기대되고 있습니다.
In exhibition cooperation with
Takuya Mizukami(Assistant Professor, College of Creative Studies, Niigata University)
Manga
Kitamura Minami
Animation
Kitamura Minami, Uehara Fumiyuki
목표는 배려심 있는 파트너
사람끼리 커뮤니케이션을 할 때 우리는 상대방의 말 내용뿐만 아니라 그 배경에 있는 주변 상황이나 목소리 톤, 사람의 움직임이나 소지품 등의 정보도 활용하고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는 그러한 정보를 파악하여 상황에 맞는 적절한 행동을 판단함으로써 사람의 파트너가 될 수 있는 로봇을 개발하고 있습니다.

Indy
Indy는 사람과 함께 살아가는 로봇을 목표로 개발되었습니다. 사람의 의도를 추정하고 그에 맞는 동작을 하기 위해 말 이외에도 음성, 화상 등의 다양한 정보를 종합하여 이해하고 다음에 해야 할 행동이나 발할 말을 결정합니다.

이 연구에서는 처음에 ‘사람의 혼잣말’과 그에 대응하는 ‘배려 있는 행동’의 조합 데이터를 많이 수집했습니다. 그 데이터를 사용하여 발화나 관측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행동을 판단할 수 있는 AI를 설계했습니다. AI를 통해 카메라로 인식한 주변 정보나 마이크로 인식한 발화를 연결하여 보다 배려 있는 행동을 할 수 있는 로봇의 개발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In exhibition cooperation with
Koichiro Yoshino, Yasutomo kawanishi, Carlos Toshinori Ishi, Yutaka Nakamura (Guardian Robot Project, Information R&D and Strategy Headquarters, RIKEN)
[Credits] * Title and affiliation are at the time of exhibition opening
헬로! 로봇
- Scientific Advisor
- Motegi Tsuyoshi (Fellow, Center for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Japan Science and Technology Agency)
- Planning & Production
- Miraikan - The National Museum of Emerging Science and Innovation
[Project Manager] Aikawa Naomi
[Director] Kawano Mizuki
[Planning & Research] Iwasawa Daichi (Science Communicator)
[Planning & Research] Sano Kodai (Science Communicator)
[Science Research Director] Ozawa Atsushi
[Technical Director] Ohashi Eiji
[Technical Director] Muraishi Hiroyasu
[Museum Operation] Sakai Yuko
[Museum Operation] Okazaki Yumiko
- Design & Fabrication
- NOMURA Co.,Ltd.
- Exhibition Production
- DAIWA Inc.
- Exhibition Graphics Production
- Aoyama Photo Art Co.,Ltd.
- Braille Translation & Production
- Sakai SilkScreen
- Translation
- Trivector Co.,Ltd.
- Contributor
- Kyoyohin-net